
백신 행사 및 교육
교육일정
접수중
접수중[한국보건복지인재원] 병원체자원관리 및 활용과정 교육 소개한국보건복지인재원에서 운영 예정인 「병원체자원관리및활용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가. 과정명: 병원체자원관리및활용과정 나. 교육일정: 2025. 9. 11.(목) ~ 9. 12.(금), 14시간 다. 교육장소: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및 국가병원체자원은행(청주시 오송읍) 라. 교육대상: 병원체자원 분양(활용)을 희망하는 국공립 연구기관 및 대학,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의 실무자 등 마. 교육내용: 병원체자원은행 운영 및 병원체 관리(배양 등), 병원체자원 관련 법령 이해, 병원체자원 오믹스 데이터 분석 등 바. 교육비: 24만원 사. 교육신청 방법: 보건복지배움인(http://edu.kohi.or.kr)에서 ‘병원체자원’ 검색 아. 교육신청 기간: 2025. 7. 16.(수) ~ 8. 30.(토) 자. 문의: 한국보건복지인재원 김주희 주임(043-710-9272, jun4502@kohi.or.kr)접수기간 : 2025-07-16 ~ 2025-08-30교육일정 : 2025-09-11 ~ 2025-09-12자세히 보기접수중
접수중2025 바이러스벡터 공정교육 실습 1기접수기간 : 2025-08-22 ~ 2025-09-03교육일정 : 2025-09-22 ~ 2025-09-26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2025 K-NIBRT RA 실습 1기 교육접수기간 : 2025-08-19 ~ 2025-08-24교육일정 : 2025-09-01 ~ 2025-09-03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2025년 감염병 대응 개방형 산업인력 재교육(백신)[2025년감염병 대응 개방형 산업인력 재교육(백신)]교육생 모집 안내1.개요□목적:신·변종 감염병 대응 개방형/기업수요 맞춤형 산업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운영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및 연구성과 사업화 역량 강화를 지원□신청대상:신·변종 감염병 관련 분야 산업체 인력(재직원)□신청기간:2025. 07. 18. ~ 2025. 08. 17.□교육방법:온라인 교육(신청자에게 강의 동영상 접근권한 개별 공지)□교육시간:총18시간(3시간/주제* 6주제)□교육시기:2025. 08. 18 ~ 2025. 11. 17 (원하는 시간에 교육 시청)□교육비용:무료2.신청방법□ 접수방법 : 본 메일에 첨부된 ‘교육 참가 신청서’(개인용 또는 단체용) 1부를 작성하여 이메일 제출(synecho@naver.com)3.교육 내용□교육 내용No.교육주제세부 내용전문가소속1감염병 대응 백신의 면역학적 이해와 연구개발 동향 강의(3)What is vaccine?Antigens, Platforms AdjuvantsVaccine effiacay ICPUniversal influenza vaccinesVaccine safety김두진충북대학교 의과대학2mRNA백신의 기초부터 응용까지:플랫폼 기술의 진화와 미래mRNA백신이란 무엇인가?mRNA백신 기술의 개발 역사mRNA백신의 작동원리mRNA백신의 장점과 문제점기술적 문제점 극복 전략COVID-19와mRNA백신의 실전 적용현재의 기술 트랜드 및 응용 확장mRNA백신의 미래 전망차현주한국생명공학연구원3Industrial Quality Control입문시험법 검증기타 산업적 사례이인재한국BMI4Industrial CGMP개요CGMP (4M)FDA허가GMP이론이인재한국BMI5백신 품질관리 주요 일반시험법(2)수두 바이러스함량시험(plaque assay)1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HA)함량시험(SRID)주사제의 불용성미립자시험(LPC)이병화한국백신6백신 비임상 시험의 이해와 적용Why Vaccines?백신비임상시험의개요백신비임상시험관련규정백신비임상시험고려사항백신비임상시험비임상시험심사다빈도보완사례개발백신의비임상시험실시사례실험동물윤리김용석HLB바이오코드4.만족도 조사 및 수료증□만족도 조사:6개 주제의 교육 시청 후‘만족도 조사’를 작성하여 담당자(synecho@naver.com)에게 제출□수료증:교육 시청 및 만족도 조사서를 제출하면 자동 발급 신청5.첨부□2025감염병 대응 개방형 산업인력 재교육(백신)교육 참가 신청 안내_pdf□2025백신 교육 참가 신청서[개인용]_한글□2025백신 교육 참가 신청서[단체용]_한글□2025백신 교육 참가 신청서[개인용]_word□2025백신 교육 참가 신청서[단체용]_word접수기간 : 2025-07-18 ~ 2025-08-17교육일정 : 2025-08-18 ~ 2025-11-17자세히 보기접수중
접수중[Oxford] Clinical Vaccine Development and BiomanufacturingProgramme detailsThe below programme may be subject to revision during the course development process.Each day will start at 9am (unless otherwise stated) and finish no later than 6pm. The exact timings will be confirmed closer to the start date.All timings are British Summer Time (UTC+1). A world clock, and time zone converter can be found here:https://bit.ly/3bSPu6DDay 1 - Tuesday 7 OctoberCourse IntroductionPrelude to human and veterinary vaccinology: scientific, manufacturing and regulatory synergiesIntroduction to vaccine typesThe clinical vaccine development processImmune mechanisms and finding correlates of protectionClinical trial regulatory framework in the vaccine industryAdjuvants for vaccines in clinical trialsDay 2 - Wednesday 8 OctoberIntroduction to biomanufacturingAn introduction to technology transferSpecific considerations for the safety testing of novel biological and viral vaccinesIntroduction to Quality by Design and its use in Vaccine DevelopmentWhen biology meets regulatory affairs – insights into today’s process validation of vaccinesVaccine Production Considerations in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Part I)Day 3 - Thursday 9 OctoberVisit to Clinical Biomanufacturing Facility (CBF), University of Oxford (Depart 08:30)Vaccine Production Considerations in GMP (Part II)Introduction to GMP upstream and downstream processesProcess Development case studyTaking lab discoveries into manufacture:a Covid-19 case studyRegulatory vaccine trial applications in the UK, Europe and beyondManufacturing case study: Oxford BioMedica expansion due to Covid pandemicDay 4 - Friday 10 OctoberAccelerating outbreak response vaccine trialsThe importance of post-vaccination surveillance. Case study: Bacterial MeningitisStatistical considerations when designing a clinical trialICH Guidelines of Good Clinical PracticeEthical considerations for trials in developing countries접수기간 : 2025-08-01 ~ 2025-09-23교육일정 : 2025-10-07 ~ 2025-10-10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한국규제과학센터] 2025년도 규제과학 단기교육 프로그램(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 2025년도 규제과학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 수강생 모집안녕하세요, 재단법인 한국규제과학센터입니다.의약품 및 의료기기 규제과학 측면에서의 이해를 돕고자한국규제과학센터와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 아주대학교, 경희대학교가공동으로 주최하는[규제과학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이번 단기교육에서는✅데이터 및 근거 기반의 국내외 규제적 활용 최신 수행 사례✅Microneedle Array Patch(MAP)의 제품화를 위한 규제과학의 이해✅완제의약품 변경관리 및 바이오의약품 GMP의 이해✅의약품 품목허가를 위한 비임상 평가✅의료기기 유럽 수출을 위한 유럽 MDT/IVDR 적용 이해, MDR/ IVDR 인증 관련 산업계 관점에서 필요한 실무 사례 기반 심층 교육✅의약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전략 수립: 환자보고성과(PRO) 근거생성을 위한 준비부터 평가까지에 대한 교육을 진행합니다.[교육개요]▶ 교 육 명: 2025년도 규제과학 단기교육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 교육일정: 1차 - 2025.8.20.(수) 09:30 ~ 16:10 2차 - 2025.8.21.(목) 09:00 ~ 17:00 3차 - 2025.8.29.(금) 10:00 ~ 16:50▶ 교육장소: 명동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서울시 중구 소공로70)▶ 교육대상: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 규제과학 대학(원)생 및 바이오헬스 관련 전공·재직자▶ 사전등록기간:(1·2차) ~ 8.14.(목)까지 / (3차) ~8.25.(월)까지▶ 신청방법: 규제과학 아카데미 홈페이지 교육신청 내 [인재양성 단기교육] 또는하단의 링크에서 교육신청※ 본 강좌는 (재)한국규제과학센터가 지원하는 ☞무료교육과정☜입니다.접수기간 : 2025-08-01 ~ 2025-08-25교육일정 : 2025-08-20 ~ 2025-08-29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국제백신연구소] 2025 Introductory course dor standard practice(GxP)과정 목표표준 실무(GxP)를 위한 이 입문 과정의 목적은 LMIC의 생물 제조 인력을 대표하는 참가자들에게 현재의 우수 실무에 따라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필수 기술을 갖추도록 하는 것입니다.본 과정을 이수하면 참가자들은 국제 GxP 기준에 따라 바이오 제조 시설에서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됩니다. 인력 개발에 투자함으로써 허브는 지역 바이오 생산의 지속적인 사업을 지원하고 제조업체 간 지식 공유를 강화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우수실험실관리기준(GLP), 우수임상시험기준(GCP), 우수제조관리기준(GMP), 생물안전성(Biosafety)에 대한 교육 및 실습 세션이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내용 및 구조본 과정은 3주간의 온라인 사전 세션과 3주간의 대면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각 세션이 끝날 때마다 참가자는 온라인 또는 대면 퀴즈를 통해 학습 내용을 평가해야 합니다. 온라인 사전 세션을 100% 완료하고 대면 과정의 모든 필수 퀴즈를 90% 완료한 참가자에게 수료증이 수여됩니다.이 과정에서 개발 중인 세션의 구체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부록 1: 임시 과정 개요를 참조하세요 .자격, 제한 및 선정 기준이 과정은 OECD DAC 목록( https://www.oecd.org/en/topics/oda-eligibility-and-conditions/dac-list-of-oda-recipients.html )에 공식적으로 LMIC로 등록된 국가의 기업에 고용된 개인을 대상으로 하며, 현재 백신, 치료제, 단일클론 항체 등을 포함한 생물제품 생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교육 및 서비스는 선발된 개인에게만 제공되며,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공유할 수 없습니다. 지원자는 교육 프로그램 기간 동안 습득한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프로그램 수료 후 소속 기관으로 복귀할 것임을 지원서에 명시해야 합니다.이 과목의 우선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생명과학 분야의 교육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생물 제조 또는 관련 분야에서 최대 6년의 경험을 보유한 기술자, 엔지니어, 과학자 또는 관리자로서의 직위를 맡으십시오.LMIC에 법인으로 등록된 회사에 고용되어 생물 제조 범위 내에서 활동을 수행합니다.LMIC의 시민이자 거주자가 되십시오.최소한 중급 수준의 말하기와 쓰기 영어 실력을 갖추고 있습니다.교육 기간 동안 습득한 지식, 기술 및 역량이 교육 후 지원자의 조직 내에서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 지원서에 기술하십시오.신청서에 전문 프로젝트와의 관련성을 설명하세요.신청 절차모든 지원서는 2025년 7월 18일 18:00(KST) 까지 온라인 지원서를 통해 제출해야 합니다 .온라인 신청서는 다음 링크의 '신청' 페이지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ivionlinecampus.ivi.int/지원자는 다음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이름, 성별, 생년월일, 국적, 거주 국가, 여권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 개인 정보입니다.학력/자격 및 영어 능력 수준지원자의 현재 직위 및 업무 경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 전문적 배경GTH-B 교육 이력지원자는 다음 서류를 업로드해야 합니다.여권 사본추천서: 지원자가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현재 고용 상태를 증명하는 지원자 소속 기관장의 서한. (웹사이트 온라인 지원서의 추천서 샘플을 참조하세요.)지원자는 다음 사항을 입증해야 합니다.현재 직책에 대한 설명과 선택에 대한 정당성.해당 교육이 해당 전문 프로젝트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교육 기간 동안 습득하고자 하는 지식과 기술에 대한 설명입니다.교육과 관련된 조직의 요구 사항과 해당 기관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에 대한 설명입니다.교육을 마치고 본 기관으로 돌아온 뒤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계획에 대한 설명입니다.GTH-B 행동 강령에 동의합니다.선발 과정선정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적격한 지원서는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와 WHO가 추천한 위원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에서 검토하게 됩니다.선정 과정이 완료되면, 선정된 참가자에게 이메일을 통해 다음 단계와 필요한 정보가 안내됩니다.제한된 수용 인원으로 인해 각 기관에서 최대 5명 까지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지원자 수가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선발위원회는 단일 LMIC에서 수용 가능한 총 교육 참가자의 10%를 한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동물용 백신 생산에만 관여하는 기관이 교육에 참가자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해당 기관의 서한을 GTH-B로 보내야 하며, 해당 서한에는 인간용 백신으로 범위를 확장하려는 기관 계획에 대한 진술이 포함되어야 합니다.선발 과정은 지원자의 자격과 역량만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개인적인 인맥이나 비공식적인 추천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려되지 않습니다.재정 조항본 과정은 참가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과정 기간 동안과 주말 동안 숙박이 제공됩니다. 평일에는 아침과 점심이 제공되며, 주말에는 아침 식사만 제공됩니다.한국 서울 왕복 항공료 및 교통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지원자는 자비로 항공료를 마련해야 하며, 코스 종료 후 3일 이내에 귀국 항공편을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선발된 참가자는 여행에 필요한 예방 접종 및 비자 취득을 확인 하여야 합니다.평등, 다양성, 포용성대한민국 보건복지부와 세계보건기구(WHO)는 과학 분야의 평등, 다양성, 그리고 포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지원을 장려하며, 성적 지향, 민족, 종교, 문화, 사회적 배경, 또는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자격을 갖춘 지원자의 지원을 환영합니다.추가 정보신청과 관련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gthb@gthbsf.org 로 GTH-B 지원 재단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서 접수는 gthb.coordinator@ivi.int 에서 회신 이메일을 통해 자동으로 확인됩니다 .신청서 접수 확인은 자동 메일이므로, 양식을 꼭 한번 더 확인 부탁드립니다.접수기간 : 2025-06-02 ~ 2025-07-18교육일정 : 2025-10-27 ~ 2025-11-14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한국규제과학센터] 2025년 국가 R&D 연구자 대상 식의약 규제 교육 기본과정접수기간 : 2025-05-15 ~ 2025-06-12교육일정 : 2025-06-12 ~ 2025-06-12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2025 K-NIBRT 항체공정교육 실습 1기 교육접수기간 : 2025-04-15 ~ 2025-04-27교육일정 : 2025-05-12 ~ 2025-05-23자세히 보기접수마감
접수마감2025 K-NIBRT Online Training(KNOT) 2기 교육접수기간 : 2025-04-15 ~ 2025-04-27교육일정 : 2025-05-14 ~ 2025-06-01자세히 보기